하지만, 이렇게 한다고 해도 시간과 인력 투입에 대한 문제가 있기 때문에, 이 글을 보시는 많은 중소기업 사장님이나 직원분들은 "알고는 있는데, 가능하겠나?" 란 생각을 하실 거라고 생각합니다.
그래서, 가장 빠르고 간편한 해결책은 IT 인프라 전문 업체와 관리 소프트웨어를 활용하여 관리를 받는 것입니다. 비즈니스의 연속성은 선택과 집중에 있는만큼, IT 인프라를 관리하는 업체를 외부와 협력하고, 내부 직원은 비즈니스에 집중하는 것이죠. 모든 비즈니스에 IT 인프라가 필요한 만큼, 업체를 신중히 고르는 것이 좀 더 중요한 항목이 될 수 있습니다.
이를 위해, 다음과 같은 기준을 세워보는 것이 중요합니다.
외부 IT 지원 업체 선정 기준
신뢰할 수 있는 IT 지원 업체를 선택하는 것이 중요해요. 업체의 경험, 고객 후기, 서비스 범위 등을 고려하여 최적의 파트너를 찾는 것이 필요해요. 또한, 전문 업체와의 컨설팅을 통한 내부의 IT문제를 파악하는 것도 중요하죠.
문제 해결 프로세스의 표준화
효율적인 문제 해결을 위해 표준화된 프로세스를 구축하는 것이 필요해요. 문제 발생 시 즉각적으로 대응할 수 있는 절차를 마련하면 불필요한 시간 낭비를 줄일 수 있습니다. 연락체계, 문제 시 대응 매뉴얼을 구축해 놓으면 좋아요.
단, 외부업체와 협력하고 있다면, 대응 프로세스에 업체와의 연락체계를 업데이트 하는 것만으로도 많은 리소스를 줄일 수 있습니다.
정기적인 시스템 점검 및 유지보수
정기적인 점검을 통해 잠재적인 문제를 사전에 예방할 수 있어요. IT 시스템의 안정성을 높이기 위해서는 정기적인 유지보수 및 업데이트가 필수적입니다. 정기적인 점검을 통해 장애를 사전에 방지할 수 있을 가능성이 높습니다. 이는 전문업체와 협력한다면 크게 신경쓰지 않아도 알아서 점검해주니, 비즈니스에 좀 더 집중할 수 있어요.
이런 업체들을 찾고, 연락하고, 견적을 받고, 진행하기까지 많은 시간을 들여야 한다면, 그것도 인력과 시간을 투입해야 하는 업무 입니다. 또한, 기술지원에 대한 대응체계를 마련하기에도 꾸준히 관리를 해주어야 하구요.